10/14/2015

tree 와 aview / figlet (그림/문자표현) , rig (주석)

1. tree 명령

tree 형식으로 보여주는 command이며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아래와 같이 별도로 설치하고 진행하자

$ sudo sudo apt-get install tree 
$ man tree
       tree [-adfghilnopqrstuvxACDFNS] [-L level [-R]] [-H baseHREF] [-T title] [-o filename] [--nolinks] [-P pattern] [-I pattern] [--inodes] [--device] [--noreport] [--dirsfirst] [--version]
       [--help] [--filelimit #] [directory ...]
SORTING OPTIONS
       -v     Sort the output by version
       -r     Sort the output in reverse
       -C     Turn colorization on always,
XML/HTML OPTIONS
       -X   : Turn on XML output
GRAPHICS OPTIONS
       -A     Turn on ANSI line graphics 
       -S     Turn on ASCII line graphics 

GRAPHICS OPTIONS
       -d     List directories only.
       -a     All files are printed. 
       -s     Print the size of each file
       -f     Prints the full path prefix 

       -L level
              Max display depth of the directory tree.


  • 사용법 
$ tree -d  //-d directory , 기본  ANSI Type , 현재기준  
.
├── Boot_Images
├── Filesystem
├── Media_Clips
│   ├── Audio
│   ├── Images
│   └── Video
└── START_HERE
    └── Setup_files

$ tree -X                // XML 로 전환 
.. XML 로 전환 ... 

$ tree -L 2             // Level을 설정하여 Tree의 단계를 설정 
....

$ tree -d -L 2 -A       //-d directory만 표시하고 -L를 이용하여 Level 제한 -A ANSI Type으로 표시 
....

$ tree -d  -A ./tools   // -d directory 와 -A ANSI Type 
...
$ tree -a ./tools   // -a 모든 File 
...
$ tree -as -A ./tools // File Size 

$ tree -t -L 1 --charset unicode     // -chartset Unicode 로 변경 
....

$ tree -t -L 1 --charset utf8        // -chartset utf8 로 변경 
...


2. aview/asciiview 명령

그림파일(아이콘)을 아래와 같이 문자로 변경하여 보여주며, 이를 소스에 적용하기가 좋은 명령어이다.

$ sudo sudo apt-get install aview
$ man aview
       aview [options] filename.p[ngbp]m
       asciiview [options] filename.xxx

       a,w,d,x
              Move the image one row/column.
       Z,+    Zoom in.
       z,-    Zoom out.
       q      Quit the viewer.



  • 사용법

 $ asciiview /media/sf_SHARED/20180625000155_0.jpg 



3. figlet/banner/toilet 명령 

3개의 command의 기능이 동일하며, 목적은 글자를 그림으로 표현해주는 명령어들이다.
사용설명법은 생략.

$ sudo sudo apt-get install figlet
$ sudo apt-get install sysvbanner
$ sudo apt-get install toilet


  • 사용법
가장 맘에 드는 것은 figlet 프로그램이며, 다른것은 그냥 그렇다.

$ figlet  HelloWorld
 _   _      _ _    __        __         _     _ 
| | | | ___| | | __\ \      / /__  _ __| | __| |
| |_| |/ _ \ | |/ _ \ \ /\ / / _ \| '__| |/ _` |
|  _  |  __/ | | (_) \ V  V / (_) | |  | | (_| |
|_| |_|\___|_|_|\___/ \_/\_/ \___/|_|  |_|\__,_|

$ banner HelloWorl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oilet HelloWorld
                                                                      
 m    m        ""#    ""#          m     m               ""#        # 
 #    #  mmm     #      #     mmm  #  #  #  mmm    m mm    #     mmm# 
 #mmm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m"    "mm    "mm  "#m#"  #   #  "#m#"   #       "mm  "#m##


4. rig 명령 

가짜 이름 /주소/ 전화번로를 생성해주며, 처음 소스에 넣어 주면 편할 꺼 같다.

$ sudo apt-get install rig
$ rig
Donovan Armstrong
492 Old Pinbrick Dr
Sunnyvale, CA  94086
(408) xxx-xxxx


  http://cloudsemina.com/index.php?mid=linux&document_srl=295

10/13/2015

ATMEGA-128A 기본정보 및 ISP 지원여부

1. 개발환경  

AVR은 오랜된 MCU이며, 인터넷에 AVR 관련자료가 너무 많기에 찾는것은 상당히 고민 될것이며,
오래전에 사용했던 경험이 있어 이전의 기억으로 컴파일러도 제각각으로 였던걸로 기억이 되어 관련자료를 다시 검색했다.
관련 IDE TOOL은 AVR STUDIO에서 제공해주는 TOOL이 있으며, 타사에서 제공해주는 존재 한다
나의 경우는 ARTMEL사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했으며 아래와 같이 사용하기로 했다.

1.1 AVR 개발환경 
  • 개발툴               :  AVR STUDIO 4.19
  • CROSS COMPILER:  GCC
  • ISP  Driver          :  PL2303_Prolific_DriverInstaller_v1.5.0

1.2 개발보드구성
  • AVR128A 구성된 HW Board 2개  ( Main Board 와 Sub Board) 
  • Serial로 Data 통신을 함. 

2. ATMEGA-128A 기본정보 

8bit 마이컴이며, Flash 와 EERPOM , SRAM을 포함하고 있어 , 다른 메모리 디바이스가
별도로 필요 없으며, CPU가 많은 예제소스를 제공하기에 다루기가 쉬우며, JTAG도 지원한다
그리고, 별도의 크리스탈로 없이 동작이 된다고 하지만 나의 보드 경우 Serial의 에러율문제인지 별도의 크리스탈을 사용한다.
아마도 성능문제로 외부 Clock을 사용하는 것 같다.

2.1 기본 정보 
    
A.  AVR128A Datasheet 및 TOOL 정보         

  http://www.atmel.com/devices/ATMEGA128A.aspx
         
  *AVR 관련 Series 정보
  http://www.atmel.com/products/microcontrollers/avr/megaAVR.aspx

B.  AVR128A 관련 한글정보

  http://cafe.naver.com/circuitsmanual/113706
  http://cafe.naver.com/circuitsmanual/16709


C. ATmega128A의 기본구성 



D. ATmega128A의 의 Block Diagram 
  • SERPROG :   Serial ISP Interface 부분  (PEN,  PDI, PDO, SCK , SPI Interface )
  • Timer 4개 :  TC0,3 구성 ( OCxXX: 비교 Interrupt, Tx: Counter로 사용, ICPx:  Input Capure)

                 

3. AVR STUDIO 6.2 이상 지원여부

처음 개발할때 AVR 개발 TOOL을 AVR STUDIO 6.2를 사용했지만, ISP의 지원문제로 인하여
4.19로 변경을 하였다.
ToolChain은 이미 포함이 되어있으므로, 다른 IDE를 설치필요가 없고 아래 와 같이 그밖의 기능들은
Tools -> Extension Manager 를 이용하여 기능을 확장하자

  • Arduino IDE for Atme Studio  
  • Atmel AVR 32bit GNU Toolchain Version 
  http://www.atmel.com/tools/STUDIOARCHIVE.aspx
  http://blog.daum.net/ledpark/20


참고로 AVR STDUIO 6.2는 개별로 크로스 컴파일러인 GCC를 별도로 설치해 줘야한다.
  1. Tools->Add Target    현재 잡힌 Port 추가 
  2. Tools->Device Programming 실행 




3.1 AVR USB ISP 문제사항정리

  • ERROR Message 관련 
    Unable to connect to tool STK500
    ModuleName: TCF (TCF command: Tool:connect failed.)
    The signature of the attached tool is AVRISP_2, which is unexpected.

    만약 저처럼 AVR STUDIO 6.2에서 아래의 메세지가 계속나올경우,



  • USB ISP AVR STUDIO 6 지원여부 확인
  아래는 내가 사용하는 USB ISP이며 관련 Driver 와 간단한 설명이다.

  http://avr128.com/40
  http://whiteat.com/pAVRISP

  나의 USB ISP가 AVR STUDIO 6에서 지원이 되지 않아, 구입업체에  문의내용이다.
            
  http://whiteat.com/index.php?mid=QnA&category=59053&document_srl=227224


   ***결론 AVR STUDIO 6 Version 이상  미지원


  • AVR USB ISP 추가확인사항
아래의 관련내용은 USB ISP의 Firmware를 사용하는데, firmware version을 변경을하면
AVR Stduio 6을 사용하는 것 같다.
하지만, 나의 USB ISP Chip과 모양다르며, 구입시 반드시 참고하시고 이 USB ISP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firmware의 version에 따라 AVR Studio의 동작 버전도 다르다고 한다.  
  (firmware to version 1.07 or later 이상을 사용해야한다고 한다.)


  추가사항
  XML을 추가
  https://www.pololu.com/docs/0J36/3.b.1

IMX6 CAMERA MODULE 수정 및 Yocto 로 Patch 만들기

1. IMX6 CAMERA INTERFACE

현재 Freescale 의 I.MX6 의 Linux KERNEL은 device tree를 사용하고 있어, 수정 및 관리가 쉽다.
I.MX6의 camera capture의 interfaces는 Module 형태로 제공을 하고 있어,
만약, 해당부분을 추가한다면, module를 추가해서 넣고 테스트를 진행하면 된다.


1.1 CAMERA 관련문서확인

우선 Freescale에서 제공하는 문서와 Yocto File을 다운로드 하고 관련문서를 숙지하도록하자.

Freescale의 Camera 관련문서 
  https://www.freescale.com/webapp/sps/download/license.jsp?colCode=L3.10.17_1.0.0_LINUX_DOCS&appType=file1&location=null&DOWNLOAD_ID=null


  • Download
fsl-yocto-3.10.17_1.0.0.tar.gz ( Freescale site에서 download )


  • 상위 관련문서
  1. i.MX_6_SABRE-SD_Linux_Release_Notes.pdf
  2. i.MX_6_Linux_Reference_Manual.pdf
  3. i.MX_6_BSP_Porting_Guide.pdf

각 문서의 주요사항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다. 

A.  i.MX_6_SABRE-SD_Linux_Release_Notes.pdf

상위 문서에서 아래부분을 각각 확인하자.
Device Tree 부분은 나의 문서를 참조하고 기본개념을 파악하자. 

TI Sitara Device Tree 관련내용(반드시 숙지) 

Device Tree 부분 참조

그리고 나서 커널내부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보자
  • Device Tree  
       uImage-imx6sl-evk-csi.dtb

상위문서의 아래부분들을 반드시 참고하고 확인하자
  • 4 BSP Supported Features i.MX 6 SABRE-SD
  1. Supported Features for i.MX 6 SABRE-SD
  2. IPU V3 driver Yes Provides the interfaces to access IPU V3 modules
  3. V4L2 Capture Yes Supports dual camera.
  4. CSI Camera Yes Supports OV5640 camera sensor.
  5. CSI Camera Yes Supports OV5640 camera sensor.

B. i.MX_6_Linux_Reference_Manual.pdf

기본적으로 Camera의 동작방식과 관련부분을 알고 있어야 아래 부분이 이해가 가능하다.

추후 Camera 관련내용제공 

각 부분 카메라 관련 모듈 테스트 방법 과 IPU와 동작방법알아두자.
상위 문서의 아래부분을 참고
  • Ch 6   IPU (Image Processing Unit)
        6.3 Source Code Structure
        6.3.1 Menu Configuration Options  ***
        6.4 Unit Test 확인

$ insmod ipu_prp_enc.ko
$ insmod ipu_bg_overlay_sdc.ko
$ insmod ipu_fg_overlay_sdc.ko
$ insmod ipu_csi_enc.ko
$ insmod ov5640_camera.ko
$ insmod mxc_v4l2_capture.ko


  • Chapter 20  OmniVision Camera Driver
  • Chapter 21  MIPI CSI2 Driver


C. i.MX_6_BSP_Porting_Guide.pdf

iMX의 BSP를 수정하는 전반적인 방법에대해서 설명을 해주고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


1.2 KERNEL 구조파악

기본적으로 KERNEL에 Linux Module을 추가하려면, 아래와 같이 기본구조를 파악하자.

A. KERNEL CONFIG 의 확인 

i.MX6에서 사용하는 Main Kernel Config 이며, 모든 Kernel Config 구성이 동일하다. 
아래와 같이 동일한 역할을 하는 파일이지만, 위치가 다 다를 수 있다

$ ls kernelxxx/arch/arm/configs/xxxx_defconfig     //  본래 xxx_defconfig 위치는 이곳이며, make xxx_defconfig  (bitbake(yocto)에서도 사용)
$ defconfig                              //  실제 적용되는 defconfig로 이 기반으로 .config 생성       
  imx_v7_defconfig                       //  imx_v7_defconfig defconfig 동일하며,  arch/xxx/configs/에 위치함 
$ vi .config                             //  현재 설정된 kernel config 값으로 defconfig 기반으로 생성됨   
                                         //  defconfig 와 .config는 구조는 거의 비슷하지만, 생성되는 것은 Kernel에서 변경이됨 

원래 Linux kernel의 경우 아래와 같이 동작하지만 Yocto에서도 상위와 같이 각각의 defconfig 를 이해하자 
$ make xxx_defconfig    //arch/arm/configs/xxxx_defconfig 설정  후 .config 설정됨 
$ make menuconfig       


B. KCONFIG 파일

Linux Kernel에서 직접 수정하도록 하자 

//일반적인 Linux Kernel는 알다시피 아래와 같이 하지만, 현재 Yocto를 사용하므로 아래를 참조해가며 하자 

$ make menuconfig // Linux 메뉴설정을 위해 아래의 파일들을 점검하자 (Driver추가시)

// 상위 .config에 의해 실제 소스에 적용되는 #define 설정값 
$ cat include/generated/autoconf.h 

// make menuconfig  실행시 메뉴설정 파일 
// 해당 driver에서 Kconfig파일과 makefile을 동시에 수정을 해주면된다.
$ Kconfig     // Main 설정 
$ makefile    // 관련부분 검토 (커널 Version 확인)

// Linux Kernel Version 확인 
$ vi include/linux/version.h  

2. CAMERA MODULE 수정


아래와 같이 build가 아니라 직접 source에 가서 수정하도록하자. 
대신 수정하기전에, backup을 반드시 진행하고 수정을 하도록하자.


2.1 Kernel Module 수정 및 config 수정 

$ cd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build/source

$ cp ./drivers/media/platform/mxc/capture/ov5642.c ./drivers/media/platform/mxc/capture/fpga.c

$ vi ./drivers/media/platform/mxc/capture/Makefile
fpga_camera-objs := fpga.o
obj-$(CONFIG_MXC_CAMERA_FPGA) += fpga_camera.o

$ vi ./drivers/media/platform/mxc/capture/Kconfig 
config MXC_CAMERA_FPGA
        tristate "FPGA camera support"
        depends on !VIDEO_MXC_EMMA_CAMERA && I2C
        ---help---
          If you plan to use the ov5642 Camera with your MXC system, say Y here.

$ cd ..      
$ vi . config                    //build directory.
CONFIG_MXC_CAMERA_OV5642=m
CONFIG_MXC_CAMERA_FPGA=m
$ cd .. 
$ vi defconfig 
CONFIG_MXC_CAMERA_OV5642=m
CONFIG_MXC_CAMERA_FPGA=m

상위와 같이 Kernel Config 와 관련 Driver 추가

2.2 make menuconfig시 설정정보 

Video For Linux는 Camera기능에서 Capture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중요하다
  - Deivce Driver -> Multimedia Support -> V4L platform devices


3. PATCH 만들어 적용 

Linux Kernel Patch를 직접 만들어서 이를 Yocto의 적용해보도록하자.
물론 bbappend를 사용할 것이다. 

3.1  KERNEL Patch 생성 


$ cd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
$ mkdir jhlee  // backup 용 source 보관
$ cp -a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shared/imx6qsabreauto/kernel-source/  org  // orginal source backup
$ cp -a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shared/imx6qsabreauto/kernel-source/  new // after modified kernel 
$ diff -urN  org  new  > fpga.patch  

상위와 같이 만들어진 patch를 확인한 후 필요한 부분만 사용


3.2 recipes-kernel 찾기

bitbake 사용시 중요한 것은 recipes 이므로 recipes-kernel 관련된 부분을 모두 찾아보자

내 kernel를  recipes 이름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 bb file 파일로 찾자

$ cd ~/IMX6/fsl-community-bsp/   // main으로 이동 
$ find . -name recipes-kernel
./sources/meta-openembedded/meta-initramfs/recipes-kernel
./sources/meta-openembedded/meta-oe/recipes-kernel
./sources/meta-openembedded/meta-networking/recipes-kernel
./sources/meta-fsl-arm-extra/recipes-kernel
./sources/poky/meta-yocto-bsp/recipes-kernel
./sources/poky/meta/recipes-kernel
./sources/poky/meta-skeleton/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arm/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i386/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x86_64/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powerpc/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mips/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qemu/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mips64/recipes-kernel
./sources/poky/scripts/lib/bsp/substrate/target/arch/common/recipes-kernel
./sources/meta-fsl-arm/openembedded-layer/recipes-kernel
./sources/meta-fsl-arm/recipes-kernel 


3.3 Kernel recipes 의 BB file 확인  

bb file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linux-fslc-mx6_3.14-1.0.x.bb  
상위 구조를 보면  '_' 기준으로 PN(Package Name)과 PV(Package Version)를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검색하면 쉽게 찾는다

  • 나의 기본 KERNEL BB FILE 확인 
상위구조를 이해했으며, 아래와 같이 쉽게 찾도록하자 
$ find ./ -name linux-fslc-mx6*bb* // manual을 보고 이미 kernel recipe 파악 or show-recipe로 추측하자 
.....
$ cd ~/IMX6/fsl-community-bsp/   // main으로 이동 
$ vi ./sources/meta-fsl-arm/recipes-kernel/linux/linux-fslc-mx6_3.14-1.0.x.bb 
# Copyright (C) 2015 O.S. Systems Software LTDA.
# Released under the MIT license (see COPYING.MIT for the terms)

SUMMARY = "FSL Community BSP i.MX6 Linux kernel with backported features and fixes"
DESCRIPTION = "Linux kernel based on Freescale 3.14.28 GA release, used by FSL Community BSP in order to \
provide support for i.MX6 based platforms and include official Linux kernel stable updates, backported \
features and fixes coming from the vendors, kernel community or FSL Community itself."

include linux-fslc.inc

PV .= "+git${SRCPV}"

SRCBRANCH = "3.14-1.0.x-mx6"
SRCREV = "4bae14aef7b8f340f30598d2b076e9ed7b7cba56"

COMPATIBLE_MACHINE = "(mx6)"

상위 bb file 의 내부에 include가 있으므로, linux-fslc.inc 파일을 찾아 세부적으로 보자

  • Source 와 Build된 부분의 defconfig
현재 Kernel config 와 동일한지 우선 확인하자.  
source 의 defconfig 값과 build의 defconfig를 비교를 해보고, 
만약 defconfig를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면 source에서 이를 맞춰서 변경해주면된다.
$ cd ~/IMX6/fsl-community-bsp/ 
$ diff  ./sources/meta-fsl-arm/recipes-kernel/linux/linux-fslc-mx6/defconfig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defconfig   // 동일 


3.4  Patch를 Yocoto *.bbappend 추가 

상위에서 만들어진, 나의 Linux Patch를 Kernel Recipe에 bbappend로 아래와 같이 추가하자.
보통 bbappend 형식으로 많이 Patch관리를 한다. 

$ cd ~/IMX6/fsl-community-bsp/   // main으로 이동 
$ cd ./sources/meta-fsl-arm/recipes-kernel/linux/  
$ cp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jhlee/fpga.patch . 
$ mkdir files             //  아래의 bbappend에 따라 subdirectory 생성하지만, files은 기본으로 찾음
$ mv fpga.patch files   // files에 copy 
$ ls
linux-fslc-mx6_3.14-1.0.x.bb        linux-imx                     linux-imx-rt-3.14.28     linux-ls1          linux-timesys-3.0.15
fpga.patch      linux-fslc-mx6_3.14-1.0.x.bbappend  linux-imx-3.14.38             linux-imx-rt_3.14.28.bb  linux-ls1.inc      linux-timesys_3.0.15.bb
linux-fslc      linux-fslc.inc                      linux-imx-mfgtool-3.14.28     linux-imx.inc            linux-ls1_3.12.bb
linux-fslc-mx6  linux-fslc_4.1.bb                   linux-imx-mfgtool_3.14.38.bb  linux-imx_3.14.38.bb     linux-mfgtool.inc


  • bbappend를 적용하여 patch진행 
기본으로 recipe(*.bb)파일 위치기준으로 사용되어지는 files는 FILEPATH에 의해 local file들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FILEPEXTRAATHS에 추가적으로 위치를 확장가능
SRC_URI 을 "file://" 사용할 경우 Local File을 사용하는 것이며, 
THISDIR의 위치는 bbappend 파일의 위치이며, 아래와 같이 patch파일을 본인이 원하는 sub directory에 추가

주석처리 했지만, 다양하게 구성해서 해보자 
$ vi linux-fslc-mx6_3.14-1.0.x.bbappend 
FILESEXTRAPATHS_prepend := "${THISDIR}/files:"
#FILESEXTRAPATHS_prepend := "${THISDIR}/v${PV}:"
#FILESEXTRAPATHS_prepend := "${THISDIR}/${PN}:"
#FILESEXTRAPATHS_prepend := "${THISDIR}/${PN}-${PV}:"
SRC_URI += "file://fpga.patch"
#PRINC := "${@int(PRINC) + 1}" 

* prepend는 맨앞에 할당
* append 는 맨뒤에 할당
* SRC_URI += append 의미이며, file:// 은 local file 의미

  • Patch 문제발생시 확인사항 
상위를 추가하면 quilt 라는 것이 patch를 실행을 하는데, quilt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path 내부에러문제인지 자세히 살펴보자.


3.4.1  상위 관련설정 세부사항 설명 


  • FILEPATH
Local FILES들을 기본으로 찾는 PATH로 보통 *bb 파일의 위치로 설정 ({THISDIR}/files:)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var-FILESPATH

  • FILESEXTRAPATHS
Local FILE들을 찾는위치를 추가로 확장하는 PATH로 본인이 원하는대로 확장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var-FILESEXTRAPATHS

  • SRC_URI
prefix 와 suffix 값에 의해 동작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면된다. ";" 를 넣어  patchdir를 이용하여 patch dir로 변경가능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var-SRC_URI
  http://www.embeddedlinux.org.cn/OEManual/src_uri_variable.html

  • Kernel 관련수정방법
Kernel의 설정인 defconfig 부터 관련 driver 수정에 관련된 부분을 설명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kernel-dev/kernel-dev.html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kernel-dev/kernel-dev.html#changing-the-configuration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kernel-dev/kernel-dev.html#creating-the-append-file


  • cfg 파일 만드는 방법
재미있는 것은  아래와 같이 diffconfig를 이용하면 .config 와 차이점을 *.cfg에 저장을 해준다.

$ bitbake linux-fslc-mx6 -c diffconfig


10/08/2015

IMX6 Kernel 빌드 및 적용 (Yocto)

1. iMX6의 KERNEL 수정

기본 YOCTO 커널은 세부적으로 나누어져 소스관리를 하는 것 같은데, 내가 사용하는 YOCTO는 조금 다른것 같다.
일단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 아래의 메뉴얼을 자세히 읽자.

Yocto의 BSP 부분의 이해
  http://www.yoctoproject.org/docs/2.0/dev-manual/dev-manual.html#developing-a-board-support-package-bsp

커널수정부분
  http://www.yoctoproject.org/docs/2.0/dev-manual/dev-manual.html#modifying-the-kernel


2. IMX6 관련 유용한 정보

아래의 정보는 나에게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똑같이 적용이 되지 않기에,
기본메뉴얼을 이해를 한 다음에 봐야 이해가 빠를것 같다.

IMX6 관련 F&A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94023  ** F/A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95264 ** 직접 커널 빌드하는 방법.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95003 **** 가장 빨리 커널 수정방법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95252  *** 커널 패치하기


3. UBOOT와 KERNEL 소스 

일단 가장 급한 것의 정확한 Uboot 소스 위치와 Kernel 소스 위치이며, 이를 찾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3.1 Uboot와 Kernel 소스 위치 파악하기 

Yocto로  bitbake를 이용하여 기본빌드를 진행을 하면 Uboot와 Kernel 소스의 위치를 알기가 힘들다
그래서 내가 생각한 방법은 .config 기준으로 find로 uboot와 kernel의 실제위치를 찾는것이다
Yocto를 보면 Uboot 마다 다른 Version이 존재하여 .config를 사용하지만, 이전버전은 같이 존재 한다면 주의해야 겠다.

Kernel의 경우에는  *dts / *.dtb 이름으로 검색을 해도 될 것 같다


$ find . -name .config
./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u-boot-fslc/v2015.07+gitAUTOINC+3f0c5353f9-r0/git/mx6qsabreauto_config/.config
./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jhlee/orgbuild/.config
./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build/.config
./build/tmp/work/i686-linux/perl-native/5.22.0-r0/perl-5.22.0/.config
./build/tmp/work/i686-nativesdk-pokysdk-linux/nativesdk-linux-libc-headers/4.1-r0/linux-4.1/.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wpa-supplicant/2.4-r0/wpa_supplicant-2.4/wpa_supplicant/.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linux-libc-headers/4.1-r0/linux-4.1/.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busybox/1.23.2-r0/sysroot-destdir/usr/lib/busybox/ptest/.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busybox/1.23.2-r0/image/usr/lib/busybox/ptest/.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busybox/1.23.2-r0/busybox-1.23.2/.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busybox/1.23.2-r0/package/usr/lib/busybox/ptest/.config
./build/tmp/work/cortexa9hf-vfp-neon-poky-linux-gnueabi/busybox/1.23.2-r0/packages-split/busybox-ptest/usr/lib/busybox/ptest/.config
./build/tmp/sysroots/imx6qsabreauto/usr/lib/busybox/ptest/.config


3.2 Uboot 와 Kernel 의  Recipes 검색 

이제 상위에서 각 위치를 파악을 했지만, 이 Bitbake를 이용하여 Recipes 이를을 정확히 알아야 겠다.
위에서 나온 정보와 아래의 명령으로 비교하여 각각 recipes 이름을 찾아보자
그리고 정확한 정보를 알아 낸뒤에 아래와 같이 상위 위치와 비교해보자.

  • Uboot 와 Kernel Recipes 검색 
$ bitbake-layers show-recipes       // 전부보기 (Uboot 와 Kernel 및 다른 recipe 파악) 

$ bitbake-layers show-recipes "*-image-*"  // Uboot를 찾기 위해서 했으나, 실패 

$ bitbake-layers show-recipes "*linux*"    // linux kernel 찾기위해 검색 (linux가 들어가면 다 검색)


  • 각  recipes 의 Layer 정보확인 
$ bitbake-layers show-recipes u-boot-fslc  // 검색을 통해 u-boot의 recipe를 찾음 
u-boot-fslc:
  meta-fsl-arm         v2015.07+gitAUTOINC+3f0c5353f9     // 각 recipe의 layer 정보확인 (가끔 두개의 Layer 가진것도 있음)

$ bitbake-layers show-recipes linux-fslc-mx6  // 검색을 통해 Kernel의 recipe 확인 (recipe의 Layer 확인)
linux-fslc-mx6:                                            
  meta-fsl-arm         3.14-1.0.x+gitAUTOINC+4bae14aef7   // 각 recipe의 layer 정보확인 


  • 각 recipes의 File 검색 및 설정확인 

$ bitbake-layers show-layers  // 상위 정의된 recipe는의 모든 layer 확인 가능하며 PATH 확인가능  

$ find ./source  -name  linux-fslc-mx6*bb*   // linux kernel *.bb 와 *.bbappend (각 recipe확인)

$ find ./source  -name  u-boot-fslc*bb*   // uboot *.bb 와 *.bbappend (각 recipe확인)


각각의 Kernel 과 Uboot Recipe들을 다 확인을 해보자.

4. Yocto 설정 (build 설정)

bitbake를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주어야 동작가능하다
만약 설정 후 bitbake가 동작이 안한다면 다시 한번 설정해주자

$ source setup-environment build 

설정시 상위에 정의 된 build direcotyr가 생성되면 conf/local.conf / bblayers.conf 를 확인


4.1 BITBAKE를 이용한 커널 설정 및 빌드

현재 나의 커널 recipeslinux-fslc-mx6 이며, 이를 이용하여, menuconfig 및 빌드 , 이미지, 생성도 가능하다.
이 때 사용하는 옵션 -c 이며 이에 연결되는 *.bb에서 Task라고 하며 do_xxxx 라는 함수들을 호출한다.
-f 옵션은 강제로 실행을 시키는 명령
  • bitbake를 이용한 kernel 설정/빌드/배포 
$ bitbake linux-fslc-mx6 -c menuconfig                                     // kernel 의 menuconfig 설정, Terminal에서 해야함.
// 커널의 설정을 확인하고 관련부분을 검토하자 , 저장을 해봐야 .config에 저장된다.

$ bitbake linux-fslc-mx6 -c compile -f                                     // kernel build  (device tree도 )

// yocto의 build 내부에서 강제로 build를 진행 이유는 build 내의 kernel source를 직접 수정하여 바로 build를 하기 위해서 사용.  
// 문서에는 권고하지는 않으며, 빠른 개발을 위해서만 사용한다. 
// 추후 Yocto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Patch file을 만들어 *.bb 혹은 *.bbappend 에 patch 파일을 추가관리 

$ bitbake linux-fslc-mx6 -c deploy                                         // deploy 적용 (build/tmp/deploy/image/xxx 확인 
//

$ bitbake linux-fslc-mx6 -c diffconfig                                      
// 상위  bitbake linux-fslc-mx6 -c menuconfig 에서 본인이 변경한 것을 간단하게 알려주며 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defconfig도 patch도 가능 
// 상위 결과물: fragment.cfg 
//
// 아래와 같이 PATCH와 거의 비슷하게 아래와 같이 본인의 추가하여 defconfig and .config를 수정하도록 하자 
// FILESEXTRAPATHS_prepend := "${THISDIR}/${PN}:"
// SRC_URI += "file://fragment.cfg"
// do_configure_prepend  : config 하기전에 앞에 하는행동 
// do_configure_append   : config 한 후에 추가하는 행동 


  • Kernel Source에서 menuconfig  (Uboot 도 동일)
만약 상위의 menuconfig 가 문제가 있다면 소스에서 직접하자.
다만 ARCH 반드시 설정 해줘야 한다.

$ cd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
$ ARCH=arm CROSS_COMPILE=arm-poky-linux-gnueabi- make menuconfig



4.2 Yocto의 Build의 커널 소스구조 

Yocto의 Build 부분에 Kernel의 Source와 Build되는 부분을 보여주며 이 부분을 이해하도록하자.
이 부분은 Kernel의 *.bb에 의해 설정이 되며 git으로 kernel source를 fetch를 진행 한 후 defconfig를 설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아래의 build 에 .config 가 설정이 되면서 build가 되고 image가 생성이 되면 이를 image로 복사한다.

$ cd ~/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imx6qsabreauto-poky-linux-gnueabi/linux-fslc-mx6/3.14-1.0.x+gitAUTOINC+4bae14aef7-r0 

// Yocto build 내부의 kernel 관련구조 
// git fetch를 하며 아래와 같이 kernel source는 link로 연결 

$ tree -d -L 1 
├── build   // kernel build 되는 곳 (.config 저장)
├── deploy-linux-fslc-mx6
├── deploy-rpms
├── git ->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shared/imx6qsabreauto/kernel-source   // linux kernel source
├── image
├── jhlee           // test 용 
├── license-destdir
├── package
├── packages-split
├── pkgdata
├── pseudo
├── sysroot-destdir
└── temp

$ ll
drwxr-xr-x 20 jhlee jhlee   4096 10월 13 11:12 build/        // kernel source 와 build되는 것으로 .config가 저장    
-rw-r--r--  1 jhlee jhlee   9704 10월  6 15:16 defconfig         // kernel의 defconfig로 kernel source에 있다면, arch/arm/configs 참조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6 20:31 deploy-linux-fslc-mx6/   // output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6 20:32 deploy-rpms/
lrwxrwxrwx  1 jhlee jhlee     85 10월  6 15:16 git ->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shared/imx6qsabreauto/kernel-source/
drwxr-xr-x  5 jhlee jhlee   4096 10월  6 18:57 image/         // kerenl의  image들 
drwxrwxr-x  3 jhlee jhlee   4096 10월  6 16:06 license-destdir/
-rw-r--r--  1 jhlee jhlee 121789 10월  6 20:32 linux-fslc-mx6.spec
drwxr-xr-x  4 jhlee jhlee   4096 10월  6 18:57 package/
drwxr-xr-x 90 jhlee jhlee   4096 10월  6 18:57 packages-split/
drwxr-xr-x  7 jhlee jhlee   4096 10월  6 18:57 pkgdata/
drwxrwxr-x  2 jhlee jhlee   4096 10월  6 20:50 pseudo/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6 18:57 sysroot-destdir/
drwxrwxr-x  2 jhlee jhlee  12288 10월 13 11:12 temp/

// 상위 build 로 들어가면 kernel의 build된 값과 소스 System.map 확인 
// Kernel source는 아래와 같이 link로 연결 

$cd build  
$ ll
-rw-r--r--  1 jhlee jhlee    98120 10월 16 13:11 .config
-rw-r--r--  1 jhlee jhlee     9760 10월 16 13:11 .config.old
-rw-r--r--  1 jhlee jhlee     1054 10월 16 13:11 .missing-syscalls.d
-rw-r--r--  1 jhlee jhlee        0 10월 16 13:11 .scmversion
-rw-r--r--  1 jhlee jhlee  2264837 10월 16 13:22 .tmp_System.map
-rw-r--r--  1 jhlee jhlee  1655860 10월 16 13:22 .tmp_kallsyms1.o
-rw-r--r--  1 jhlee jhlee  1655860 10월 16 13:22 .tmp_kallsyms2.o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tmp_versions/
-rwxr-xr-x  1 jhlee jhlee 17118260 10월 16 13:22 .tmp_vmlinux1*
-rwxr-xr-x  1 jhlee jhlee 18224228 10월 16 13:22 .tmp_vmlinux2*
-rw-r--r--  1 jhlee jhlee        2 10월 16 13:22 .version
-rw-r--r--  1 jhlee jhlee      200 10월 16 13:22 .vmlinux.cmd
-rw-r--r--  1 jhlee jhlee      742 10월 16 13:11 Makefile
-rw-r--r--  1 jhlee jhlee   410666 10월 16 13:22 Module.symvers
-rw-r--r--  1 jhlee jhlee  2264837 10월 16 13:22 System.map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arch/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3 block/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4 crypto/
drwxr-xr-x 59 jhlee jhlee     4096 10월 16 13:22 drivers/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3 firmware/
drwxr-xr-x 28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7 fs/
drwxr-xr-x  5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include/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22 init/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ipc/
drwxr-xr-x 11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6 kernel/
drwxr-xr-x  6 jhlee jhlee    12288 10월 16 13:15 lib/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4 mm/
drwxr-xr-x 2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22 net/
drwxr-xr-x  7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scripts/
drwxr-xr-x  3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security/
drwxr-xr-x 20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4 sound/
lrwxrwxrwx  1 jhlee jhlee       85 10월 16 13:11 source ->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tmp/work-shared/imx6qsabreauto/kernel-source/
drwxr-xr-x  2 jhlee jhlee     4096 10월 16 13:11 usr/
-rwxr-xr-x  1 jhlee jhlee 18224228 10월 16 13:22 vmlinux*
-rw-r--r--  1 jhlee jhlee 22305936 10월 16 13:22 vmlinux.o

source에서 실제 소스를 수정해야한다.


4.3 Yocto Build의 deploy의 image 확인

build 디렉토리에서 각각의 Kernel 및 Uboot와 Device Tree 이미지를 확인가능하다.
Device Tree의 설정만 변경이 되면, 매번 Kernel 의 세부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 ls tmp/deploy/images/imx6qsabreauto/  // build 기준으로 tmp/deploy/images 찾음 
README_-_DO_NOT_DELETE_FILES_IN_THIS_DIRECTORY.txt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06054445.dtb
modules--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06054445.tgz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14014133.dtb
modules--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14014133.tgz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ecspi-20151006054445.dtb
modules-imx6qsabreauto.tgz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ecspi-20151014014133.dtb
qt4e-demo-image-imx6qsabreauto-20151006054445.rootfs.ext4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flexcan1-20151006054445.dtb
qt4e-demo-image-imx6qsabreauto-20151006054445.rootfs.manifest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flexcan1-20151014014133.dtb
qt4e-demo-image-imx6qsabreauto-20151006054445.rootfs.sdcard.gz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gpmi-weim-20151006054445.dtb
qt4e-demo-image-imx6qsabreauto.ext4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gpmi-weim-20151014014133.dtb
qt4e-demo-image-imx6qsabreauto.manifest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06054445.bin
qt4e-demo-image-imx6qsabreauto.sdcard.gz                                            zImage--3.14-1.0.x+git0+4bae14aef7-r0-imx6qsabreauto-20151014014133.bin
u-boot-imx6qsabreauto.imx                                                           zImage-imx6q-sabreauto-ecspi.dtb
u-boot-imx6qsabreauto.imx-sd                                                        zImage-imx6q-sabreauto-flexcan1.dtb
u-boot-sd-v2015.07+gitAUTOINC+3f0c5353f9-r0.imx                                     zImage-imx6q-sabreauto-gpmi-weim.dtb
u-boot.imx                                                                          zImage-imx6q-sabreauto.dtb
u-boot.imx-sd                                                                       zImage-imx6qsabreauto.bin


10/07/2015

YOCTO 기본사용방법

1. Yocto Project

요즘 임베디드 프로그램에서 개발환경에서 yocto project로 빌드하는 것이 대세 인것 같다.
TI를 비롯하여, Freescale의 iMX6, Raspberry pi 보드 등 대부분의 BSP를 Yocto를 지원해주고 있다.
하지만, 한번 빌드를 시작하면, 용량이 상당하여, 시간과 데이타양이 부담스럽지만, 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좋은 것 같다.
bootloader 부터시작하여, kernel 및 filesystem에 들어가는 관련 application 및 GUI Interface의 전체 소스를 받고 빌드를 하며 사용하기 쉽다고 하지만,
막상 Yocto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을 하면 소스 추가하는 방법과 이를 관리하는 방법도 배워야 하니, 배울게 점점 더  늘어나 진다.


1.1 각 칩제조사별 Yocto Project 

현재 TI의 경우 AM33xx or AM43xx 일 경우 관련 Yocto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다른 SOC는 현재 잘모르겠다.
그리고, 반드시 알아야할 것이 아래의 메뉴얼과 본인이 사용하는 Yocto 구조가 많이 상이할수가 있는데, 이부분은 반드시 관련 Version과 관련 제조사 Manual을 반드시 참조해야한다.
하지만 기본구성과 기본사용법은 거의 비슷하므로 아래의 기본은 알아두도록하자

  • TI의 Arago Project
  https://www.yoctoproject.org/product/arago-project

Freescale은 IMX6을 다루면서 잠시 아래와 같이 빌드했지만, Freescale에서 제공해주는 문서를 읽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졌다.

  • Freescale iMX6
  https://www.yoctoproject.org/organization/freescale-semiconductor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1616
  https://community.freescale.com/docs/DOC-93844


2. Yocto 기본매뉴얼 

아래의 사이트에 가면 모든 메뉴얼이 존재하며, 반드시 가서 읽어봐야 하며, 가능하면,
최신 Manual을 읽는 것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해를 한 다음에 본인 Version으로 가서 읽으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아래 Manual 보다 칩제조사의 Manual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Yocto 모든 메뉴얼 소개
  https://www.yoctoproject.org/documentation


  • 전체메뉴얼
  http://www.yoctoproject.org/docs/1.8/mega-manual/mega-manual.html


2.1 중요부분메뉴얼 (V1.8)

현재 최신 버전인 1.8 Version으로 메뉴얼을 봤지만, 추후 개발한다면 관련 Version을 알아
자신의 Version에 맞게 알아두자

  • 커널 및 BSP관련 개발 ( BSP부분 중요)
  Yocto Project Linux Kernel Development Manual
  http://www.yoctoproject.org/docs/1.8/kernel-dev/kernel-dev.html
       
  Yocto Project Development Manual
  http://www.yoctoproject.org/docs/1.8/adt-manual/adt-manual.html

  Yocto Project Board Support Package (BSP) Developer's Guide
  http://www.yoctoproject.org/docs/1.8/bsp-guide/bsp-guide.html

  • Source Repositories:
  http://git.yoctoproject.org/cgit/cgit.cgi


3. Yocto 기본동작 

Yocto project는 꼭 임베디드 소스 개발환경에 제공되는 시스템이 아니며, 아래의 구조를 보고 천천히 이해를 하자
각각의 소스를 가져와 패치를 하고 설정을 하며, 원하는 패키지를 생성 후 테스트를 걸쳐, Image를 생성한다. 이것이 기본 Yocto project의 구성이다.


http://www.yoctoproject.org/docs/1.8/yocto-project-qs/yocto-project-qs.html


  • Yocto의 전체적인 동작방식 (상층의 화살표대로 보면 전체적인 이해가 됨)
  1. Source Mirrors 존재 및 관리 (관련 Project들의 Source 집합체)
  2. Source Mirror에서 Fetch (Download from remote Repositories)
  3. 좌측의 User Configuration  Target 설정된 값들 기준으로 Build 를 진행 
  4. Build를 진행을 하면 좌측의 Metadata 와 Machine/Policy Configuration에 이용 
  5. Build 진행 후 Output이 생성되면 Package를 만들고 이를 QA TEST 진행 
  6. Image 와 SDK도 생성하여 각각의 Output을 생성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ource-fetching-dev-environment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patching-dev-environment

  • 용어정리
  1. User Configuration: 빌드를 Control하는 Metadata라고 하며 config file 
  2. Metadata Layers:  상위 좌측의 3개 Metadata / Machine / Policy Configuration를 말함
  3. Source Files: 상위 Source Mirros를 말하며 보통 Git로 관리.
  4. Build System: Bitbake기반으로 recipe에 따라 source fetch / patch / build /package등을 진행한다 

Fetcher / Fetching: Source는 다운로드하는 것
  • Embedded 시스템에서 보면 주요부분
  1. Image Generation  (Uboot 와 Kernel / Filesystem)
  2. SDK 
  3. Package (rpm/deb/ipk) 다양한 Linux Package를 지원가능 

최근에는 라지베리파이까지 지원되는 것으로 보아서 거의 관리부분은 Yocto 추세로 가는 것 같다.


  • QEMU의 지원
Target CPU 상위 User Configuration에서 설정 기준으로 Image가 생성되고 Depoly 된다
재미있는 것은 QEMU이라는 것이 존재하여 Target CPU를 테스트가 가상으로 TEST가 아래처럼 가능하다.









  • Quick Start 
동작방식 및 처음사용법을 간단히 소개한다.
  http://www.yoctoproject.org/docs/1.8/yocto-project-qs/yocto-project-qs.html


3.1  Yocto 전체구성 

Yocto 전체구성을 보면 간단히 보면 Source 와 Build 구성이 된다.

  • Yocto 관련부분 (i.MX는 Source 변경)
Yocto의 Poky를 비롯하여 추가된 Yocto 의 다양한 Layer 들 (Open Embedded Layer 및 BSP Layer)이며, 이 설정기반으로 Build에 구성한다.
Yocto의 관리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된다.

  • Build (Yocto 기반으로 생성된 부분)
Source 기반으로 설정되어 생성되는 Directory 이며, Source 내부의 설정에 따라 변경이 되어진다.
User Configuration (conf/local.conf, conf/bblayers.conf) 를 비롯하여 각 필요한 소스를 Git로 Fetch(Download)를 하고 이를 Package를 진행하고 Image를 생성한다.
상위의 3. Yocto의 동작이 Build 내부에서 진행이 된다고 생각하면된다.


3.2 Yocto의 구성 (Poky)

Yocto는 Pocky만 있으면, 기본구성이 되어지며, 그리고 Yocto에 지원되는 다양한 Tool 및 Script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1. Poky:  Yocto의 기본구성이며 bitbake를 비롯하여 기본이되는 명령어들이 존재 
  2. Open Embedded(OE): Yocto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Embedded Layer 들
  3. Chip 제조사의 meta-layer:  TI or Freescale 들은 본인들의 Layer들을 제공 


Pock 관련부분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tructure-core


Chip 업체가 BSP Layer를 구성한다면 Pocky 기반으로 BSP Layer를 만들고 구성을 할 것이며, OpenSource에서 필요한 것들은 Open Embedded에서 보충할 것이다




3.3 Yocto의 Layer의 종류

하단그림의 Layers 부분의 좌측의 3개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bitbake에 의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Layers들은 Source Directory에 존재하며
각각의 conf 와 recipes들이 존재하며,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이 BSP Layer 부분일 것이다.

  • 각 Configuration 과 Layer의 관계 
  1. Policy Configuration: Distro layer로 배포를 위해 전체 image or package 관련부분을 담당
  2. Machine Configuration: BSP layer로 target arch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 
  3. Metadata : Software layer로 일반적인 open source들이 해당 

Metadata, Machine Configuration, and Policy Configuration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metadata-machine-configuration-and-policy-configuration



  • Distro Layer의 기본구성 
전체 배포를 위한 규칙담당을 하기 때문에 많이 익숙해져야할 Layer이며 build directory의 conf/local.conf에 확인가능하며,
conf/layer.conf 와 conf/distro/***.conf가 존재하며, 보통 include 형식으로 연결되어있음.
  1. classes : (*.bbclass)를 가지고 있으며, 배포를 위해 공유
  2. conf : 상위에서 conf/local.conf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distro layer 확인 (conf/distro/*.conf)
  3. receipe-* : 일반적인 배포를 위한 recipe와 다양한 기능의 recipe 제공 

  • BSP Layer의 기본구성 
conf/layer.confconf/machine/machine_name.conf로 구성이 되며, 현재 사용중인 BSP Layer를 확인하고자 하면 build directory의 conf/local.conf 에서 확인가능
일반적으로 recipes-bsp, recipes-core, recipes-graphics, recipes-kernel 등으로 구성이되지만, 배포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

BSP Layer의 구성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bsp-guide/bsp-guide.html


  • Software Layer의 기본구성 
상위에서 설정된 배포방식으로 일반 Open source를 Package를 진행하며, Layer이기 때문에 conf/layer.conf가 존재


Distro/BSP/Software layer 관련사항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distro-layer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tructure-meta-conf-machine

  • 모든 Distro 와 BSP layer 찾기  

$ find yocto/sources -name distro  // 모든 distro layer 위치확인가능  
.../conf/ditro
.../conf/ditro

$ find yocto/sources -name machine  // 모든 machine layer 위치확인가능  
.../conf/machine
.../conf/machine


  • Build 의 User Configuration 이용하여 Layer 정보찾기
Build directory 의 User Configuration 정보확인
$ cat yocto/build/conf/local.conf  // 현재 build directory의 distro layer 확인 
.....
MACHINE ??= 'armxxxxx'      // 사용될 BSP Layer 확인가능   (??= 는 다른곳에서 설정안할 경우) 
DISTRO ?= 'poky'            // 사용될 Distro Layer 확인가능 (?= 주의)   
DISTRO_FEATURES ?=         // 
PACKAGE_CLASSES ?= 'package_rpm'   // Package를 기본 rpm 구성 이외 deb 과 ipk 
.......

$ cat yocto/build/conf/bblayers.conf // 전체 Layer 확인 가능하며, Software Layer 구성확인가능 
.........
BBLAYERS = " \
  ${BSPDIR}/sources/poky/meta \
  ${BSPDIR}/sources/poky/meta-poky \
  \
  ${BSPDIR}/sources/meta-openembedded/meta-oe \
  ${BSPDIR}/sources/meta-openembedded/meta-multimedia \
  ...

BBLAYERS += "추가될 Layer "

$ find yocto/sources/ -name poky*.conf // DISTRO로 사용하는 Distro layer 확인가능 

$ find yocto/sources/ -name armxxxxx*.conf // MACHINE로 사용하는 BSP layer 확인가능 


3.4 Yocto의 쉬운 Layer 확장 (중요) 

Yocto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것에서 확장이 쉽게 가능하며 아래의 사이트에서 Layer를 찾아 추가하고
이를 build의 conf/bblayers.conf (User Configuration)에 적용하면 된다.
상위 BBLAYERS 부분에 추가

  • Yocto를 확장가능하게 해줄 다양한 Layer들 (Open Embedded)
  https://layers.openembedded.org/layerindex/branch/master/layers/

  • Metadata ( poky의 meta)
좀 더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각각의 recipes들을 살펴보자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tructure-meta

  • Custom Layer 구성
상위 3가지 종류 중 본인이 원하는 것을 선택해서 Layer를 직접구성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dev-manual/dev-manual.html#understanding-and-creating-layers


4. Yocto의 Build Directory 기본구성  



  1. 좌측은 Yocto의 Source
  2. 우측은 Yocto의 Build

  • build directory 설정방법
  1. 각 Yocto마다 이름은 조금씩 다를수 있지만, 기본은 enviornment 설정 후 bitbake를 사용가능  
  2. 처음 source를 이용하여 build 설정할 경우(아래 예제참고) 
    1. build direcoty 생성
    2. build의 User Configuration (Source에서 복사해옴)
    3. build enviornment 설정가능 및 bitbake 와 yocto 명령사용가능  
  3. 재설정 할 경우 (동일하게 입력, 아래 예제참고)
    1. build directory 이미 기존생성것 이용
    2. User configuration 이미 기존생성된것 이용 
    3. build enviornment 재설정 후 bitbake 및 yocto 명령어 이용가능 

  • build directory 일반설정의 예
poky의 것을 사용하지만 좀 더 좋게 하기 위해서 이를 기반으로 Shell Script을 이용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있음

$ source poky/oe-init-build-env build  // build directory를 build로 생성 
or 
$ source poky/oe-init-build-env build-sample  // build directory를 build-sample로 생성 (이름변경은 마음대로) 

Linux Terminal에서 기본적으로 login 할때마다 build enviornment를 설정되지 않기때문에 매번설정해야함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tructure-core-script


4.1 User Configuration 

build directory를 설정 한 후 각각의 bblayers.conf 와 local.conf는 전체 설정에 반영이 되므로 중요하며 관련세부설정도 알아보자.

  • User configuration 의 구성 
  1. build의 conf/bblayers.conf : Layer정보로 Layer를 이곳에 직접추가가능 
  2. build의 conf/local.conf : 전체환경 설정값 e.g MACHINE 설정
  3. source의 bblayers.conf.sample 과 local.conf.sample:  build의 원본파일 

  • bblayers.conf 환경설정
  1. Layer 관련 추가 방법: BBLAYERS

  • local.conf 일반환경설정 (개인환경설정)
local.conf는 전체 환경설정값으로 모두 적용이 되므로, 필요한 것 있다면, 일반 설정 이외
본인 환경설정도 이곳에 정의해서 설정가능하다.
아래설정은 Yocto에서 보통 사용되어지는 일반환경설정들이며, 이부분은 좀 자세히 알아두자.
  1. Build Parallelism Options:  BB_NUMBER_THREADS , PARALLEL_MAKE , BB_NUMBER_PARSE_THREADS 
  2. Target Machine: MACHINE  (Board 설정 및 MPU 설정)
  3. Download Directory:  DL_DIR (중요 각각의 Source를 Download 장소설정)
  4. Shared State Directory:  SSTATE_DIR
  5. Build Output: Build의 될곳  TMPDIR
  6. Distro 관련설정DISTRO DISTRO_FEATURES 
  7. Package 종류설정PACKAGE_CLASSES  (rpm/ipk/deb) 중 설정 rpm이 default 
  8. Package 설정PACKAGECONFIG  
  9. Image 설정EXTRA_IMAGE_FEATURES  
  10. Disk Monitor 설정: BB_DISKMON_DIRS  모니터하며, 이 내부 Command 사용 
  11. PATCH 관련설정PATCHRESOLVE  (noop or user) 이며, patch가 실패했을 경우 
  12. CLASS 관련설정: USER_CLASSES inherit해서 설정할 수 있는 CLASS 영역설정 

User Configuration 사항아래참고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user-configuration

  • Build의 Directory 기본구성 
Yocto 기반으로 Source를 Download하고 이를 Pacakge 및 Image를 만들어 아래의 장소에 넣고 작업을 한다.
  1. build/tmp/deploy/images: Embedded System에 필요한 Image들 
  2. build/tmp/deploy/rpm or deb : 각 Package들 
  3. build/tmp/work : 보통 필요한 source들이 이 곳에 존재
  4. build/tmp/work-shared: 공유가 필요한 Source들은 이곳에 존재 

Build 의 구성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tructure-build


4.2 Bitbake  기본사용법 

bitbake는 Yocto를 전체를 Control 해주는 system이며, shell과 python 사용하여 관리를 해주고 배포를 진행한다

  • bitbake 기본사용법 
bitbake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recipe를 실행을 해보고 세부 Task도 같이 실행을 해보자

$ bitbake foo   // foo 는 recipe/target 

$ bitbake foo  -c bar                  // do_bar Task 함수 동작진행 
or
$ bitbake -c bar foo 

$ bitbake recipe  -c bar -f   // do_bar Task 함수 강제실행  

$ bitbake recipe  -g foo     // graphviz를 제공  

$ bitbake -h  // 관련설명 확인 아래링크확인

$ bitbake -e   // 설정되어지는 환경설정값을 전부출력 (너무 오래걸림)

$ bitbake -e | grep ^VAR   // 값 설정되었는지 안되었는지 확인 및 검색 
// 1. 본인이 원하는 환경설정값을 검색하여 값 확인 
// 2. 이 값기준으로 검색하여 bb 파일 위치 파악 

Bitbake Command  (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bitbake-user-manual/bitbake-user-manual.html#bitbake-user-manual-command

Bitbake 전체 Manual
  http://www.yoctoproject.org/docs/1.8/bitbake-user-manual/bitbake-user-manual.html


4.3 Bitbake 실행시 Yocto Sources 구성요소 

기본적으로 Layer기반으로 구성이 되며, 아래의 요소들이 각각 구성이 각 필요로 한다.
이전의 Layer의 종류에 따라 각 필요하는 부분이 다르므로 관련부분에 대해 알아두도록하자.

  • Metadata(Recipes)   
(*.bb) 파일로 파일 설정 및 빌드 방법 , 종속 문제 및 Recipes의 Version  등 종합적인 관리를 한다.

  • Configuration Files
(*.conf)로 구성이 되며 다양한 모든 Configuration 설정 을 담당하며, Main에 존재하는 bitbake.conf의 경우는 Compiler 관련 옵션 및 전체 설정을 담당한다.

  • Classes 
(*.bbclass) 로 되며, metadata files사이들의 공유에 유용하며, classes라는 별도의 directory가 존재한다.
모든 recipes와 class가 자동적으로 항상 include 된 후 base.bbclass의 경우는 특별하다고 한다.
한마디라로  상위 metadata를 include할 때 사용하며, 특정 metadata와 공유하여, 각 상속개념으로 사용되어진다.
recipe안에서 class를 사용한다면, inherit를 이용하여 class를 사용한다.

  • Append Files 
(*.bbappend)로 는 말그대로 파일을 추가하는 기능이며, 대신 이것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bb)와 이름과 동일하게 (*.bbappend) suffix가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다.

Bitbake의 구성요소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usingpoky-components-bitbake

  • Task  
do_xxxx 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Metadata(recipe) 안에 존재하며 이미 정해진 Task들도 존재하며, 본인 별도로 구성이 가능.
Task의 경우는 조금씩 달라질수 있으므로, 각각 Chip vendor에 따라 Yocto Manual을 참조

$ bitbake  recipe  -c task  // Task 실행
$ bitbake  recipe  -c task -f  // 강제로 Task 실행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Task들 (Normal Recipe Task 참고) 
  1. do_fetch
  2. do_unpack
  3. do_patch
  4. do_configure
  5. do_compile
  6. do_install
  7. do_package
  8. do_rootfs


Normal Recipe Task (참고)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normal-recipe-build-tasks

Kernel Task (참고)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kernel-related-tasks

Image Task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image-related-tasks


5. Bitbake의 순차적인 동작흐름 

Bitbake의 시작을 보면 Source Mirror로 부터의 Source  Fetch 진행를 시작으로 볼수 있겠으며, 이것이 행해지는 부분은 상위 Build Directory 안에서 진행이 된다.

bitbake 전체흐름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bitbake-dev-environment


  • Source Mirrors의 기본구성 
  1. Local Projects : Yocto의 내부에 포함되어진 File들 
  2. SCMs: Git , SVN
  3. Upstream Project Releases:  정식으로 Release된 압축파일들 


5.1 Source Fetch  (Source Download)

Source Mirrors에서 do_fetch를 이용하여 download 하고 do_unpack으로 압축을 풀고 build directory에서 진행한다

  1. sources:  source의 recipe에 따라 fetch와 unpack를 진행 
  2. download : source mirrors에서 Upstream Project Releases 파일을 받아 저장 및 SCM 주소저장  
  3. build directory: download의 압축된 파일을 풀어 소스로 보관 


사실 이 부분은 이해만 하고 recipe만들 경우 이미 Distro Layer에서 정해져있기 때문에 수정할 부분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recipe를 만들 경우 Source Mirror에 따라 어떻게 사용방법이 다른지는 각각 파악하자


  • Task 작업 
  1. do_fetch:  Source Mirrors에서 Source들을 가져오는 작업 
  2. do_unpack: 가져온 Source를 unpack하는 작업 

  • 주요환경변수 관련내용 (세부사항  아래링크)
  1. TMPDIR:  상위 그림의 Build에서 tmp   
  2. PACKAGE_ARCH:  상위 그림을 보면 tmp/work/ 구성을 보면 알수 있다. 
  3. PN: Package Name ( Recipe name,  Recipe를 작성시 PN_PV_PR.bb)
  4. PV: Package Version ( Recipe version )
  5. PR: Package Revision ( Recipe revision, default r0, 이며 거의 잘 사용안함)
  6. WORKDIR: TMPDIR 안에 work  
  7. S:  Build Directory에서 Package Source 위치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ource-fetching-dev-environment


5.2 Patching

Fetch를 하고, Download된 Source에 본인이 변경사항이 있다면, Source의 각 Layer의 receipe(*.bb)에 보통 *.bbappend를 만들어서 patch를 진행
이때 사용되어지는 Tool은  quilt (patch를 이용한 tool) 와 patch를 이용한다.



  • 환경변수
  1. S:  Build directory의 Source의 위치이며, TMPDIR 기준으로 보면이해가 됨  
  2. TMPDIR:  Build directory 의 tmp  

  • Patch Files (*bb or *.bbappend)
  1. SRC_URI:  각 Patch를 넣으면 Patch가 동작 하며 Suffix를 상위  (아래링크 참조)
  2. FILESEXTRAPATHS_prepend: Patch할 File의 위치를 맨 앞에 등록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patching-dev-environment


5.3 Config 및 Compile 

Open source일 경우, 각 Configuration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이때 각각을 설정하며, compile 시 옵션도 추가가 가능하다



  • 환경변수
  1. S:  Build directory의 Source의 위치 
  2. B: 기본적으로 S와 같지만, Build되는 곳을 말하는 것 같음 
  3. D: 목적지로 상위그림을 보면 image로 install되면 세부적으로 {bindir} 와 {libdir}

  • Task 구성 
  1. do_configure: download한 소스 configuration (meta/classes/autotools.bbclass) S 사용
  2. do_compile: build 작업 이며 S와 B 사용 
  3. do_install : install작업이며 package 와 rootfs에 install 진행 (D의사용이지만, B도사용)

상위와 같이 구성이 되지만, do_configure는 생략이 가능하며, do_compile도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configuration-and-compilation-dev-environment


5.4 Package Splitting 

Recipe의 경우 Package 기반으로 동작이 되기 때문에 Image를 만들 경우에도 사용되며, do_package를 이용하여 linux package를 지원한다.

  • Package 와 Split 작업
package 작업을 위해 subset으로 split 으로 분리하여 이를 package로 생성하여 그림의 Package Feeds로 배포



  • Package Feeds의 구성 
Package Feeds에서 Image or SDK로 배포


  • 환경변수 (suffix는 생략)
  1. D: build되어 Install된 bin/lib 위치로 이 위치 기반으로 동작 
  2. PKGD: split 되기 전에 PKG의 Destination PATH
  3. PKGDATA_DIR: 공유되어지는 directory로 library와 밀접함 
  4. PKGDESTWORK:  do_package에 작업되는 PATH
  5. PKGDEST:  split 된 후에 package의 parent path 
  6. FILES: Package안에 놓여질  file 과 directory 구성 
  7. PACKAGES: FILES로 구성되며 PACKAGE를 구성

보통 FILES의 경우 FILES_${PN}으로 구성되며, 더 다양하게 확장이 되어진다.
그리고, 이를 PACKAGES = FILES_${PN} 식으로 설정을한다.

  • package class 로 recipe에서 inherit으로 이용 
conf/local.confPACKAGE_CLASSES 확인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ref-classes-package


  • Task의 구성 
  1. do_package: do_package 작업으로 rpm/deb/ipk/tar 로 가능 
  2. do_packagedata:  package 작업할때 사용되어진다고 함 (아직이해못함)


Package 변수확인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package-splitting-dev-environment


5.5 Image Generation 

Embedded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상위 Package Feeds 기반으로 do_rootfs 의 task에 의해 Filesystem 및 최종 Image가 생성된다
이와 관련 recipe들은 만드는 방식이 거의 유사하다.

  1. core-image-minimal 
  2. core-image-base

상위 *.bb 파일을 찾아 새로운 core-image-xxx.bb 생성 후 아래의 변수들을 사용하여 확장해나가면 된다. (include는 필수)




  • 기본환경변수
  1. IMAGE_INSTALL: 설치할 Package List로 각 Package가  설치
  2. PACKAGE_EXCLUDE: 설치제외할 Package List를 적으면됨 
  3. IMAGE_FEATURES: Package의 특징이라고 하면 설치될 것들이 이미 정해져 있으며 Package의 옵션설정  
  4. PACKAGE_CLASSES:  Package Class 로 공유되는 부분을 설정
  5. IMAGE_LINGUAS: 특정 언어가 지원될때 언어설정 

  • 확장환경변수
  1. IMAGE_ROOTFS:  Root filesystem의 PATH이며, 이곳에서 Package 존재확인
  2. PACKAGE_INSTALL: Package들이 최종으로 Image로 Install 
  3. IMAGE_POSTPROCESS_COMMAND: IMAGE 생성 후 되는 Command 진행
  4. ROOTFS_POSTPROCESS_COMMAND: ROOTFS 생성 후 되는 Command 진행
  5. IMAGE_MANIFEST: Image의 manifest 
  6. IMAGE_FSTYPES:  Filesystem의 Type이지만 원하는 Image type선정 (e.g ext3, tar,gz2 )

  • 기타 확장환경변수 (사용법은 Link 참조)
  1. ROOTFS_PREPROCESS_COMMAND
  2. ROOTFS_POSTPROCESS_COMMAND
  3. SDK_POSTPROCESS_COMMAND
  4. POPULATE_SDK_POST_TARGET_COMMAND
  5. POPULATE_SDK_POST_HOST_COMMAND
  6. IMAGE_POSTPROCESS_COMMAND
  7. IMAGE_PREPROCESS_COMMAND
  8. ROOTFS_POSTUNINSTALL_COMMAND
  9. ROOTFS_POSTINSTALL_COMMAND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migration-1.6-variable-changes-variable-entry-behavior

  • Task
  1. do_rootfs: rootfs system을 만드는 과정이며, 최종 Image 형태를 제공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image-generation-dev-environment

IMAGE_FEATURES 와 EXTRA_IMAGE_FEATURES 설정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dev-manual/dev-manual.html#usingpoky-extend-customimage-imagefeatures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ref-features-image


5.6 SDK Generation

이부분은 생략

SDK Package 배포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sdk-generation-dev-environment


5.7 Image의 deploy 
최종결과물 확인이며 build/tmp/deploy/machine_name 되며 각각의 아래의 변수를 기억하자



  https://www.yoctoproject.org/docs/1.8/ref-manual/ref-manual.html#images-dev-environment

10/03/2015

Virtual Box Upgrade

1. Virtual Box Upgrade

Ubuntu 14.04를 사용하게 되면서 해상도문제및 기타문제 발생으로 Virtual Box Upgrade를 결정하였다.





  • 1st Upgrade  
  1. 기본패키지: VirtualBox-5.0.6-103037-Win
  2. 확장패키지: Oracle_VM_VirtualBox_Extension_Pack-5.0.6-103037

  • 2nd Upgrade
  1. 기본패키지: VirtualBox-5.1.22-115126-Win.exe


기본패키지는 기본 Virtual Box Program이며 Extension Pack 이를 보완해주는 Program으로,USB 2.0 지원 및 기타 문제를 해결해준다.

2. Virtual Box Upgrade Version

기존버전에서 아래 Version으로 Upgrade 했으면, 현재 별이상 없이 사용하고 있다.
Ubuntu Version 이 변경이 되면 주기적으로 Upgrade를 해줘야 할 것 같다.
  1. 기존버전:  4.3.6-91406 
  2. 1st Upgrade:  5.0.6-103037
  3. 2nd Upgrade: 5.1.22-115126

2.1 기본패키지 및 확장패키지 Upgrade  

Virtual Box는 새로운 Version이 나오면, Upgrade진행 여부를 묻는 Message가 나오면,
이에 응답진행하면,
자동으로 Download가 되며, 이를 설치하면된다.
그리고, Download가 된 후, 새로 설치진행하고, 만약 확장팩이 설치가 되어있다면, 확장팩도 Upgrade하라고 자동으로 Message가 나오며, Download하고 설치하면된다.


기존 설치와 관리가 동일하기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

  https://ahyuo.blogspot.com/search/label/Virtual%20Box

  • 확장패키지가 설치가 안된경우

* 기본패키지 설치후 파일->환경설정->확장 에서 확장패키지 변경

  • 주의사항 
  1. Upgrade시 Virtual Box는 실행을 하지 말하야 한다. 
  2. Upgrade가 진행 한 후 컴퓨터 Restart를 진행해야한다. 

Virtual Box는 관리자 Mode에서 실행되기 원하며, 아래와 같은 Message가 나온다.


  1. Repair와 Remove 메뉴가 나오는데 Repair로 설정하여 진행을 하였다. 
  2. 추후 설치 및 진행을 하면될 것 같다.  (* 메뉴 중 TRY가 되지 않아 무시하고 넘어갔다)


관련설치 메뉴얼:
  https://www.virtualbox.org/manual/ch01.html#intro-installing

관련확장 메뉴얼:
  https://www.virtualbox.org/manual/ch04.html

2.2  변경사항 

일단 그래픽적으로 많이 변했고, USB 3.0지원 및 설정 기능, 메뉴변경 등 눈에 띄는 변경사항으로 봐도 달라지점을 쉽게 알수 있다.
변경사항을 보면, 버그픽스와 호환성문제해결 등 GUI 문제사항이 주를 이루고 있다.
무료로 사용하게 해주어서 정말 감사할 뿐이고, 고맙게 느끼며 사용하고 있다.


버전별 변경사항 확인:
  아래사이트에서 버전별로 달라진 기능 및 변경사항들을 확인하자
  https://www.virtualbox.org/wiki/Changelog


3. 메뉴얼 


3.1 사용메뉴얼


  • Virtual Box 기본메뉴얼
아래의 메뉴얼를 참고하여 좀 더 관련기능의 역할과 관련지식을 알아두고,버전업이 될 수록 새로운 기능이 나오므로,  이에 관련된 기능을 알아두자.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manual
  https://www.virtualbox.org/manual/UserManual.html


  • End-User 봐야할 문서
  https://www.virtualbox.org/wiki/User_HOWTOS


3.2 LINUX 설치후 문제발생시 확인사항

Guest OS를 Linux로 사용할 경우 필요한 패키지를 기술하고 있으며, Guest OS로 Linux를 설치후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이곳을 먼저 확인하자
Ubuntu 역시 Debian 기반으로 한 OS임을 잊지 말자.

Getting started->Build instructions:
Guest LINUX를 설치전 확인사항
  https://www.virtualbox.org/wiki/Linux%20build%20instructions

3.3 Virtual Box에서 사용되는 Binaries 설명

Window에서 사용되어지는 Virtual Box의 실행파일 및 각 파일에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차후 좀더 설정 및 변경을 해야한다면, 각 기능을 먼저 숙지하고 수정하자.

  https://www.virtualbox.org/wiki/Binaries_overview


3.4 Virtual Box 관한 FAQ

Virtual Box에서 제공하는 FAQ이며,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 않지만, 많은 궁금사항을 물어보는 보는 것이기에 반드시 읽어봐야한다.

   https://www.virtualbox.org/wiki/Developer_FAQ

3.5 Virtual Box 네트워크관련내용 및 기술문서 

Virtual Box에 관련된 TIP과 네트워크 사용할 때의 사용되는 VboxManage 기능을 알아두자.
기본적으로 Virtual Box에서 사용되어지는 네트워크 패킷을 잡을 수 있는 기능을 소개하고 있으며, 좀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봐야할 부분이다.

Virtual Box의 Network 관련 TIPs
   https://www.virtualbox.org/wiki/Network_tips
   http://www.virtualbox.org/manual/ch08.html

더 자세한 내용은 상위 기본 매뉴얼 과 아래의 기술문서 참고.

3.2-3.5내용은 아래에 사이트에 가면 있기에 보다많은 기술적인 정보를 더 알고 싶다면, 아래의 기술문서를 참고하여 보면 될 것이다.
이곳에서 Virtual Box의 궁금한 사항들을 포괄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Virtual Box의 전체기술문서
    https://www.virtualbox.org/wiki/Technical_documentation

10/02/2015

IMX6 YOCTO 기본개발환경 설정

1. iMX6  개발환경 

  • OS: ubuntu-14.04.3 LTS version  (ubuntu-14.04.3-desktop-i386)
  • 개발환경: yocto project 사용 

1.1 Ubuntu 관련설정

  • Ubuntu Package 필요 설치 
Ubuntu 기반으로 기본으로 설치되어져야 하는 Package들로 관련 Manaul 참조
$ sudo apt-get install gawk wget git-core diffstat unzip texinfo gcc-multilib \
build-essential chrpath socat libsdl1.2-dev xterm

  • 추가적으로 필요한 Package (옵션)
내가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 Package들 설치 
$ sudo apt-get install curl
$ sudo sudo apt-get install tree 


  • 커널설정시 문제가 발생
아래와 같이 Kernel 설정을 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발생을 할 경우 ncurse library 설치 
$ make menuconfig
 *** Unable to find the ncurses libraries or the
 *** required header files.
 *** 'make menuconfig' requires the ncurses libraries.
 *** 
 *** Install ncurses (ncurses-devel) and try again.

보통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데, 흐음 
$ sudo apt-get install libncurses5-dev 


Yocto 의 Quick Gude
만약 다른 OS라면, 아래 사이트 혹은 iMX6의 문서를 참고해서  환경설정하자
    http://www.yoctoproject.org/docs/1.8/yocto-project-qs/yocto-project-qs.html


1.2 git 와 repo 설정 

Yocto는 Git 과 repo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GIT과 Repo 기반으로 Download 및 관련설정을 해주자.

  • git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JeonghunLe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xxx@xxxxx" 
$ git config --list 

  • repo 설정(Git Control)
$ mkdir ~/bin
$ curl http://commondatastorage.googleapis.com/git-repo-downloads/repo > ~/bin/repo
$ vi ~/.bashrc    // add following setting 
          PATH=$PATH:~/bin
$ chmod a+x ~/bin/repo



2. IMX6 Yocto 개발관련 문서 

아래의 사이트에서 Yocto 기반으로 BSP를 설치하는 문서가 존재하며, 각각의 BSP Porting 및 관련사항의 문서를 볼 수 있다.
Yocto의 경우 가장먼저 Chip vendor사의 Manual 부터 반드시 확인하고, 관련사항을 점검하도록하자. 
현재 Freescale의 i.MX6는 Yocto 기반으로 Release Version 과 Community Vers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부분을 설치하고 진행하자
두 Version의 차이는 일단 공식 Release version 과 Community Version의 차이는 공식 버전과 개발버전의 차이 인것 같다.


Yocto를  Download 위치 와 setup 설정방법 차이가 존재하지만 사용방법은 거의 동일하다
각 두가지 버전을 설치진행을 해보도록하자 


2.1 Yocto release version 설치  

i.MX6의 Release Version으로 설치진행 및 확인 

  • i.MX6 개발문서 
  1. fsl-yocto-3.10.17_1.0.0.tar.gz
  2. fsl-yocto-3.14.28-1.0.0.tar.gz

상위 파일안에, Freescale_Yocto_Project_User's_Guide 문서에  사용방법이 잘 서술이 되어있으며,
아래와 같이 QT를 이용한 빌드방법도 소개하고 있으나, 현재 이방법으로 하지 않는다.

문서의 예제 5.6.2 FB image on i.MX 6Quad SABRE-AI
  • Release  sources download 
$ mkdir fsl-release-bsp   //release version 이 아님 

$ repo init -u git://git.freescale.com/imx/fsl-arm-yocto-bsp.git -b imx-3.10.53-1.1.0_ga

$ repo sync 


  • Yocto 개발설정 (release 용)
bitbake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 재 설정을 해주자
MACHINE에 본인의 Reference Board의 를 설정하고 아래와 같이 build directory를 생성

$ MACHINE=imx6qsabreauto source fsl-setup-release.sh –b build-fb –e fb  
// build-fb directory 생성되며 conf/local.conf 생성 후 자동으로 이 위치로 이동  


  • 본인이 원하는 배포버전으로 빌드진행  
$ bitbake fsl-image-qt5  // QT5지원가능 
// build 가 진행되면서 각각의 소스를 download를 하며 build를 진행
or 
$ bitbake core-image-base
// 기존으로 QT5가 포함 빼고자 하면 fsl-image-gui로 진행 (This builds QT5 on a frame buffer backend) To build without QT5, use image recipe fsl-image-gui.


  • bitbake로 빌드 후 이미지 확인 (uboot/kernel/rootfs)
최종 Image가 상위 MACHINE과 이름이 동일하게 생성 
./build/tmp/deploy/images/machine/imx6qsabreauto


2.2 Yocto community version 설치 

Release Version과 거의 동일하며, 어려움이 없이 쉽게 가능하다. 

  • Community sources download 
$ mkdir fsl-community-bsp   //release version 이 아님 

$ cd fsl-community-bsp

$ repo init -u https://github.com/Freescale/fsl-community-bsp-platform -b master  //(master can be fido or master-next for newer one)

$ repo sync


  • Yocto 개발설정  (community) 
bitbake 관련 명령어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재설정
$ source setup-environment build  //build directory 생성이 되며 기본 설정인 conf/local.conf 설정 

  • build/conf/local.conf 설정  
$ pwd  
/home/jhlee/IMX6/fsl-community-bsp/build 

$ vi conf/local.conf
MACHINE ??= 'imx6qsabreauto'
DISTRO ?= 'poky'
PACKAGE_CLASSES ?= "package_rpm"

#### modified ################################
EXTRA_IMAGE_FEATURES = "debug-tweaks ssh-server-openssh tools-sdk"

IMAGE_INSTALL_append += " icu directfb"
DISTRO_FEATURES_remove = "x11 wayland"
DISTRO_FEATURES_append = " directfb"
#### end of modified ##########################

USER_CLASSES ?= "buildstats image-mklibs image-prelink"
PATCHRESOLVE = "noop"
BB_DISKMON_DIRS = "\
    STOPTASKS,${TMPDIR},1G,100K \
    STOPTASKS,${DL_DIR},1G,100K \
    STOPTASKS,${SSTATE_DIR},1G,100K \
    STOPTASKS,/tmp,100M,100K \
    ABORT,${TMPDIR},100M,1K \
    ABORT,${DL_DIR},100M,1K \
    ABORT,${SSTATE_DIR},100M,1K \
    ABORT,/tmp,10M,1K"
PACKAGECONFIG_append_pn-qemu-native = " sdl"
PACKAGECONFIG_append_pn-nativesdk-qemu = " sdl"
ASSUME_PROVIDED += "libsdl-native"
CONF_VERSION = "1"

BB_NUMBER_THREADS = '4'        // BITBAKE THREAD 수 
PARALLEL_MAKE = '-j 4'              // Make 동작시 패러럴 옵션      4x4 = 16 

DL_DIR ?= "${BSPDIR}/downloads/"
ACCEPT_FSL_EULA = "1"

#OE_TERMINAL = "screen"           // ssh창에서 menuconfig위해 추가했으나 별효과가 없음 


  • 본인이 원하는 배포버전으로 빌드진행 
각 빌드시간마다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내 PC에서 5시간 이상걸리는 것 같다.
한번 확인하기가 너무 오래걸리며, 인내하고 참자.

$ bitbake qt4e-demo-image (or core-image-base)    
$ bitbake meta-toolchain-qte (for toolchain sdk)

  • bitbake로 빌드 후 이미지 확인 (uboot/kernel/rootfs)
./build/tmp/deploy/images/machine/imx6qsabreauto


  • 각 디렉토리 를  트리구조 확인하여 분석 
상위에서 설치한 tree package로 각 구조를 File 구조 및 관련사항을 파악
$ tree -d -L 2 -A


3. bitbake 이외 명령어들 확인 

yocto setup을 진행한 후 bitbake는 사용가능하며, 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bitbake 관련명령어들이 존재하므로 각각 실행해보자

$ bitbake-layers show-layers  // Layer 구성을 보여준다 

layer                 path                                      priority
==========================================================================
meta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poky/meta  5
meta-yocto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poky/meta-yocto  5
meta-oe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meta-openembedded/meta-oe  6
meta-multimedia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meta-openembedded/meta-multimedia  6
meta-fsl-arm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meta-fsl-arm  5
meta-fsl-arm-extra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meta-fsl-arm-extra  4
meta-fsl-demos        /home/jhlee/IMX6/fsl-community-bsp/sources/meta-fsl-demos  4

$ bitbake-layers show-recipes  // bitbake의 recipes들을 보여준다. 

// release or community version으로 setup을 하면 build directory 생성과 함께 build/conf/local.conf 와 build/conf/bblayers.conf 생성됨  
// 다만 release 와 comminity 가 setup하는 방법은 다름 

$ vi conf/bblayers.conf   // 상위의 show-layers 부분을 확인 
BBLAYERS = " \
  ${BSPDIR}/sources/poky/meta \
  ${BSPDIR}/sources/poky/meta-yocto \
  \
  ${BSPDIR}/sources/meta-openembedded/meta-oe \
  ${BSPDIR}/sources/meta-openembedded/meta-multimedia \
  \
  ${BSPDIR}/sources/meta-fsl-arm \
  ${BSPDIR}/sources/meta-fsl-arm-extra \
  ${BSPDIR}/sources/meta-fsl-demos \

Freescale의 p1020rdb 예제로 참고만하자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828316&mid=lecture_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