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I Radar Anthena 분석
Radar Anthena H/W 부분 과 관련된 부분을 분석을 해보며, 최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데 까지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다.
일단 Radar 직접 개발을 해본 적이 없기에 문서로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많은 부분들이 틀린 수 있으므로, 관련 부분을 미리 언급한다.
- Radar 와 RF Communcation 비교
RF Communication 과 MIMO-Radar Virtual Array 구성파악
2.2 MIMO-FMCW Radar 부분파악
- 4D FMCW Radar 이해 와 용어
4D FMCW Radar 이해
- Radar 의 Cascade 의 이해
Radar Cascade 방법
1.1 MIMO 의 Virtual Array
MIMO(Mutiple Output Multiple Output)기반 으로 되며, Anthena 구성 하면,
Virtual Array 가 발생하며, Anthena 설계 구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Angle-Azimuth 와 Angle-Elevation 측정 가능하다
즉, 간단히 생각하면, 가상으로 Channel이 생기는 것이다.
- AoA(Angle of Arrival) 의 이해
최소 2개 이상의 Anthena를 이용하여 들어오는 신호 위상(Phase)차이를 이용하여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Anthena 의 설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좀 깊게 들어가면, Angle-Azimuth 와 Angle-Elevation 으로 2가지 방향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Radar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 A. MIMO-Anthena 구조 와 Virtual Array
RX1~RX4 와 TX1,TX3 전부 수평으로 동일하게 있으며, TX2만 다르며, 구조가 간단.
Virtual Array 간단하며, 구조도 쉬움
3(TX) x 4(RX) = 12 Virtual Array 구성 (Channel)
TX2를 좀 더 위에 설계하여, Elevation(수직) 측정이 가능해짐
TDM-MIMO 예상-(확실치는 않음)
즉 3 개의 TX가 시간차이를 두고 전송하며, RX는 모두 이 TX를 받아 Phase 차이 이용하여 분석한다.
- Antenna Radiation
아래는 즉 RX 입장에서 각 TX의 각도 와 Amp 값
FoV 부분에서 좀 이해가 되지가 않으며, 문서와 맞지 않음
Patch 과다 사용으로 FoV가 좁아진건지?? (정확히는 모르겠음)
TX1,TX2,TX3 가 Elevation Degree하고 연관성도 정확히 모르겠음
![]() |
https://www.ti.com/lit/ug/swru546e/swru546e.pdf |
- Radar AOP Type Anthena Design
IWRL6432AOP
7.14 Antenna Positions
AOP Type을 보면 RX Antena는 좌/우(Azimuth), 상/하(Elevation) 위치되어 있으며, 이는 각 Angle 을 알기 위함인 걸로 보인다.
- B. MIMO-Anthena 구조 와 Virtual Array
RX2 과 RX3 이 RX1 과 RX 4 위상이 180 이상이라고 하므로,
TDM-MIMO방식이 아닌 것 같으며, 이전의 BPM-MIMO 방식인 것 같음
3(TX) x 4(RX) = 12 Virtual Array
![]() |
https://www.ti.com/lit/ug/swru546e/swru546e.pdf |
BPM-MIMO(Datasheet에서 확인 안했음)
BPM이지만, BPM도 기본이 TDM방식이며, TX가 최대 2개 까지 동시전송(Phase 180)이 되는 듯 하다.
즉 상위 Virtual Array BLUE 와 RED는 Phase 분리해서 처리를 해야 하는 듯 하다.
- Antenna Radiation
![]() |
https://www.ti.com/lit/an/swra554a/swra554a.pdf |
- C. MIMO-Anthena 구조
B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Virtual Array 구성이 아래와 같이 조금 달라진다.
![]() |
https://www.ti.com/lit/ug/swru546e/swru546e.pdf |
BPM-MIMO(Datasheet에서 확인 안했음)
BPM이지만, BPM도 기본이 TDM방식이며, TX가 최대 2개 까지 동시전송(Phase 180)이 되는 듯 하다.
즉 상위 Virtual Array BLUE 와 RED는 Phase 분리해서 처리를 해야 하는 듯 하다.
- Antenna Radiation Pattern 확인
- 4.9의 경우, 설명에 있듯이 Azimuth
- 4.10의 경우, 설명에 있듯이 Elevation
![]() |
https://www.ti.com/lit/ug/swru546e/swru546e.pdf |
1.2 TDM-MIMO 와 BPM-MIMO 복습
- FFT 관점
- Range 1D FFT : Input IF의 ADC 각 Chirp 의 ADC
- Doppler 2D FFT : Input Range 1D FFT
- Angle 3D FFT : Input Doppler 2D FFT
- TDM-MIMO(Time Division Multiplexing)
RX 입장에서 TX1 과 TX2를 동시에 받을 수가 없으며, 아래와 같이 Time 나누어서 전송
그러므로, 이전에도 말을 했지만, 전체 Chirp의 갯수는 이미 정해져 있다.
Chirp 디자인도 중요한 듯 하다.
![]() |
https://www.ti.com/lit/an/swra554a/swra554a.pdf |
2D FFT를 처리 후에 Phase 차이 기반에 마지막에 각 Virtual Array (Anthena1 ~ 8) 기반으로 ,
Angle-FFT를 하여 2차원 공간 수평(Azuimth)/수직(Elevation) 위치파악을 한다.
영상처럼 3D FFT도 하며, FFT 숫자에 너무 생각하지 마시길 ~~
이 부분은 나중에 다시 세부적으로 설명하겠다.
- BPM-MIMO(Binary Phase Modulation)
RX 입장에서 TX1 과 TX2를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이 때 위상(Phase)차이가 180 차이 나서 받을 수 있다고 하는 것 같다.
즉, 동시에 TX 2 Channel 까지만 동시 전송이 가능한 걸로 판단되어진다.
나머지 사항은, 기본적인 TDM과 거의 유사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짐
![]() |
https://www.ti.com/lit/an/swra554a/swra554a.pdf |
- 기타사항
이외에도 통신 기반으로 생각하면, 여러가지 아이디어는 있으며, 구지 상위에 너무 한정적으로 생각 할 필요가 없을 듯 하다.
Azimuth 와 Elevation을 구하면, 어떻게 이를 표시를 할지가 좌표시스템이며, 상위를 보면 아래의 좌표 시스템을 이용하는 듯 하다.
![]() |
https://kr.mathworks.com/help/phased/ref/azel2uv.html |
좌표는 상위와 구성되는 것 같음 (쉽게 생각하면, 지구의 위도, 경도)
이를 Spherical Coordinate System이라고 하는 것 같으며, 구형 기반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다만, 간단히 생각해보면, 구형 기반으로 하다보니, Range가 커지면, 점점 면적이 넓어져서 오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는 거 같다.
- Spherical Coordinate Systems
X Azimuth (-180 ~ +180)
Z Elevation (-90 ~ +90)
X-Y-Azimuth, X-Z-Elevation, Range
1.4 Programming Chirp Parameters
아래의 사항들을 완벽히 이해를 하지 못해서, 넘어가면, 나중에 필요시 정리
2.1.1 Maximum Range
2.1.2 Range Resolution
2.2.1 Maximum Velocity
2.2.2 Velocity Resolution
2.3 Angular Range and Resolution
2. Anthena 기본구성
기본사항들은 TI에서 제공하는 Radar Anthena Degin을 이해 해보도록 하자.
나중에 분명히 업데이트가 될꺼이며, 가능하면, 아래에서 이해하는게 맞을 꺼 같다.
https://dev.ti.com/tirex/explore/node?node=A__AYACbFbxKXPkH52Vd6GNSA__RADAR-ACADEMY__GwxShWe__LATEST
2.1 Anthena Spacing
- RX-RX Spacing
좌/우로 theta 가 0~ 90 degree 기반으로 Max FoV 최대 180 degree 이다.
![]() |
https://dev.ti.com/tirex/explore/content/radar_academy_2_10_00_2/_build_radar_academy_2_10_00_2/source/introduction/fundamentals.html |
FoV에 따라 d = Lamda/2 기반으로 Space를 두고 설계를 진행을 하는 것 같다.
그래서 상위의 물리적 RX-RX 사이의 거리가 즉 d = Lamda/2 인 것 같다.
- TX-TX Spacing
아래 3가지의 TX 방사(radiation) 형태를 보면, d > lamda/2 가 가장 Beaforming 답게 구성이 되어지는 것 같은데, Slide Lobe는 이해가 되지 가 않아 이 부분은 생략
- d > lamda/2
- d = lamda/2
- d < lamda/2
![]() |
https://dev.ti.com/tirex/explore/content/radar_academy_2_10_00_2/_build_radar_academy_2_10_00_2/source/introduction/fundamentals.html |
- TX-RX Spacing
글을 읽어보면, TX 와 RX 사이의 거리는 가급적 멀리 두라는 이야기이며, SNR 이외 크게 언급이 없어 이 부분도 생략
2.2 Anthena Patch
Patch는 아래와 같이 Anthena에 TX 와 RX에 면적을 확장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간격 보통 d = Lamda/2로 구성을 한다고 하며, 아래는 최근 문서가 업데이트되어서 그렇지 이전 Patch 구조를 보고 많이 혼동했다.
- Patch의 개념
- Patch 증가하면, RX/TX 에서 dB 증가 와 FoV 감소
- Patch 감소하면, RX/TX 에서 dB 감소 와 FoV 증가
dB 증가/감소 이유는이 Anthena 면적과 길이 때문일 것이며, FoV는 면적과 길이가 늘어나니 감지할 수 있는 범위도 줄어든 것 같다.
120° azimuth field of view (FoV) and 30° elevation FoV
2.3 TI 의 PCB Design Guide
EVM 과 각 Design Reference로 쉽게 각 부분을 파악가능
RF PCB 의 소재 와 간단한 구성 소개